1. 사용자
->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파일에 접근하거나 사용하려면 정보 보호를 위해 먼저 권한을 획득해야 한다.
이러한 권한은 계정에 따라 소유자, 그룹, 기타 모든 사용자 이렇게 3 부류의 소유 권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.
- 소유자 :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
- 그룹 :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사용자가 가입된 특별 계정
2. 권한
-> 파일은 접근 권한으로 읽기,쓰기,실행이라는 세 가지 종류의 모드로 구분하여 중복으로 조합해서 설정할 수 있다.
사용 권한 | 값(2진수) | 사용 권한 | 값(2진수) | ||||
읽기 | 쓰기 | 실행 | 읽기 | 쓰기 | 실행 | ||
- | - | - | 0(000) | r | - | - | 4(100) |
- | - | x | 1(001) | r | - | x | 5(101) |
- | w | - | 2(010) | r | w | - | 6(110) |
- | w | x | 3(011) | r | w | x | 7(111) |
3. chmod 명령
-> 파일의 모드를 바꾸어 권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2가지 방법이 있다.
첫 번째 방법은 파일의 접근 권한을 8진수로 표현하는 방법이다.(소유자/그룹/모든 사용자별로 읽기/쓰기/실행)
ex) 755모드는 소유자(읽기,쓰기,실행) 그룹(읽기, 실행), 기타 모든 사용자(읽기, 실행)
두 번째 방법은 숫자를 사용하지 않고 기호 문자를 사용하여 특정 권한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방법
ex) -rw-/r--/r-- 소유자(읽기,쓰기) 그룹(읽기), 기타 모든 사용자(읽기)
구분 | 기호 | 의미 |
소유 권한 | s | 소유자와 그룹만 허용 |
u | 소유자 권한 | |
g | 그룹 권한 | |
o | 다른 사용자 권한 | |
a | 소유자,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 사용 권한 허가 | |
함수 | + | 사용 권한 추가 |
- | 사용 권한 제거 | |
= | 사용 권한 유지 | |
사용 권한 | r | 읽기 권한 |
w | 쓰기 권한 | |
x | 실행 권한 |
'라즈베리파이(리눅스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시스템 관리 명령 (0) | 2021.10.12 |
---|---|
리눅스 기타 파일 명령어 (0) | 2021.10.12 |
리눅스 기본 명령어(파일처리)-02 (0) | 2021.10.12 |
리눅스 기본 명령어(파일목록,경로)-01 (0) | 2021.10.12 |
리눅스 최상위 디렉터리 (0) | 2021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