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번 글에서 서버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시간을 가졌다면 이번에는 리눅스 기반의 파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. 먼저 리눅스에서 파일 조작은 소켓조작과 동일하게 간주되기 때문에 자세히 공부할 필요가 있다. 파일 조작에서 알아야 될 용어중 하나는 파일 디스크립터(File Descriptor)인데 시스템으로부터 할당 받은 파일 또는 소켓에 부여된 정수를 의미한다. 즉 프로세스에서 특정 파일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추상적인 값이다.
ps) 운영체제가 만든 파일또는 소켓의 지칭을 편히 하기 위해서 부여된 숫자라고 생각하고 일단 넘어가자.
파일 디스크립터 | 대상 |
0 | 표준입력 : Standard Input |
1 | 표준출력 : Standard Output |
2 | 표준에러 : Standard Error |
'TCP & 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-1 인터넷 주소(IP)와 포트 번호 (0) | 2021.10.06 |
---|---|
2-2 Tcp client 실행 (0) | 2021.10.06 |
2-1 프로토콜이란? (0) | 2021.10.06 |
1-3 윈도우 기반 구현 (0) | 2021.10.06 |
1-1 네트워크 프로그래밍,소켓 (0) | 2021.10.06 |